본문 바로가기
BigData TIL/Python

[Jupyter] Jupyter notebook code into github

by xxub 2022. 1. 18.
반응형

주피터 노트북에 있는 코드를 깃허브 안에 올려주는 방법을 적을 예정이다.

주피터 노트북에서 파이썬 언어로 code를 만들기 시작했다. 기초부터 시작을 하고 데이터를 불러와 시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측을 하는 등등의 일을 진행했다. 물론 회사에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어디에 올릴 수 있는 코드는 아니지만 그래도 깃허브에 기록을 할 수 있지는 않을까? 대답은 yes. 

1. github 계정 생성

https://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73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깃허브를 현재 처음 만드는 사람이고 추후에 회사 제출 용도로 사용을 할 거라면 본인의 이름, 닉네임으로 주소를 잡는 게 좋다.

2. 저장소(repository) 설정

깃허브를 만들고 맨 처음 해야 하는 일은 저장소를 만들어야 한다. 코드를 만들고 설명을 하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 repository로 들어가서 new를 눌러준다. 
  • repository의 이름을 설정한다.
  • 코드를 누구든 볼 수 있게 하려면 public, 본인만 알 수 있도록 하려면 private로 설정해준다.
  • 새로 만든 저장소 안에는 아무것도 없을 테니 README file을 추가해준다.
  • README file은 단어 그대로 현재 이 저장소의 역할이나 설명을 써주면 된다. 깃허브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README를 제일 먼저 읽고 확인할 것.

repository 생성
repository 세부 설정

3. Jupyter notebook file upload

올릴 준비가 완료가 되었고 이제 주피터에 있는 파일을 업로드한다. 주피터 파일은 로컬 pc에서 현재 파일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한다. 방금 만든 저장소에 들어가면 Add file을 볼 수 있다.

  • Add file을 클릭하여 upload files를 선택한다.
  •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아까 찾아둔 파이썬 코드를 drag 해서 올려준다.
  • 모든 파일이 올라갔다면 Commit changes 클릭하면 완료!!

반응형